Page 157 - 중국현당대소설_배도임교수
P. 157

중국현당대소설 인문융합 큐레이터


                06          혁명과 연애

                            Revolution and Love

              0학생용  무료  계정  신청
                1930년대  초에  혁명+연애(革命加恋爱)  소설이  젊은이들  사이에서  열풍을  일으켰다.  장광츠(蒋光慈,  1901-1931)의  중
              편소설  「들제사(野祭)」는  1927년  11월  20일에  상하이  창조출판사(上海创造出版社)에서  출판했으며,  혁명과  연애의  첫걸음
              을  내디딘  작품이다.  장광츠의  장편소설  『구름을  뚫고  나온  달(冲出云围的月亮)』(上海北新书局1930年1月初版),  후예핀(胡也
              频,  1903-1931)의  중편소설  「모스크바로  가다(到莫斯科去)」(1930年上海光华书局出版),  화한(华汉,  阳翰笙,  1902-1993)
              의  중편소설  「두  여성(两个女性)」(1930),  딩링(丁玲,  1904-1986)의  단편소설  「1930년  봄의  상하이(一九三零年春上海)」
              (『小说月报』1930年21卷9期)와  딩링의  혁명문학  소설의  처녀작으로  일컬어지는  중편소설  「웨이후(韦护)」(1930년  1-5월         Wordpress
              『소설월보』에  연재,  1930년  9월  15일  上海大江书铺  출판)  등은  모두  ‘연애’  서사를  통해서  프티  부르주아  지식인이  혁명에
              투신하게  되는  과정을  묘사했다.  당시에  매우  영향력을  지닌  창작  흐름이었음에도  이후  문학  평론  가운데서  내내  찬밥신세였      LMS
              다.  하지만  ‘혁명+연애’는  잠재적인  창작의  원형이었고,  바로  뒤이어  나온  혁명문학(革命文学)  창작에  영향을  끼쳤다.
                                                                                                     교
                                                                                                     육

                                                                                                     플
                                                                                                     랫
                                                                                                     폼
                                                                                                       |




                                                                                                     Wordpress
                    들제사(상하이                  후예핀                                딩링                   LMS
                     현대서국)    구름을  뚫고  나온  달          모스크바로  가다   양한성(화한)
                                                                                                     Education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후에  양모(杨沫,  1914-1995)의  장편소설  『청춘의  노래(青春之歌)』(1958,  작가출판사),
              샤오예무의  중편소설  「우리  부부  사이(我们夫妇之间)」,  쭝푸(宗璞,  1928-    )의  단편소설  「팥(红豆)」(1957年第7期的《人民
              文学》杂志)  등도    ‘혁명+연애’  패턴의  강력한  생명력을  보여주는  작품들이다.                                    Platform












                                                              쭝푸
                                      양모        청춘의  노래
                ‘혁명+연애’  패턴의  창작이  이처럼  몇십  년  동안  긴  생명력을  유지할  수  있었던  이유는  첫째,  사랑서술  방면에서  중국의
              문학  전통이  내내  시대적  문화적  이상과  같은  짜임새를  유지해온  데  있다.  명청(明淸)  시대의  재자가인  소설에서  사랑을  서
              술하기  시작한  뒤로  사랑에  대한  정의는  늘  시대적  변화에  따라  바뀌어왔다.  문학  패턴에서  보면,  ‘벼슬길+연애’,  ‘개량+연
              애’,  ‘계몽+연애’,  ‘혁명+연애’로  분류할  수  있다.  그래서  연애는  문학의  서술  가운데서  시종  불변적이었지만,  시대적  가치와
              이상은  가변적이었으며,  사랑의  가치에  대한  정의를  제약했고,  사랑은  시대적  가치와  이상을  위한  문학  수사의  수단이  됐다.
              둘째,  공시적  각도에서,  혁명+연애  패턴의  소설이  창작된  시대가  바로  중국이  계몽적인  현대성에서  정치적  현대성으로  나아
              가는  전환  단계였다는  점에  있다.  혁명+연애  소설에서  현대성의  세  가지  중요한  특징인  보편성,  비판성,  반사성이  두드러진
              다.  제3세계  나라(亚洲、非洲、拉丁美洲以及其它地区中的发展中国家,它们构成第三世界。)에서    현대적인  비판성은  역사의  ‘단



           154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