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03 - 중국현당대소설_배도임교수
P. 203

중국현당대소설 인문융합 큐레이터


                07          도시와 탐미

                            City and Aesthetic

              0학생용










                                            도시문화와                                                    Wordpress
                                          중국현대도시소설      도시문학
                                                                                                     LMS
                                                                                                     교
                                                                                                     육
                장훙성(张鸿声)은  『도시문화와  중국현대도시소설(都市文化与中国现代都市小说)』(河南大学出版社,  1997)에서  도시문학에
                                                                                                     플
              대한  연구에서  당시  도시문학  작가와  작품론의  범주를  벗어나서  문학  형태론의  높이로  끌어올렸다.  우선  도시소설을  비교적        랫
              완벽한  문학  형태로  삼아서  도시  형태에서  도시문학  형태로  파고  들어가서  현대  도시  형태의  성숙과  흐름을  결합하고  계통      폼

              적으로  도시소설의  발단,  발전,  절정,  변화,  변천  등  단계를  논술했다.  그래서  5‧4시기는  배태  준비기,  1930년대는  발생  고  |
              조기,  1940년대는  퇴조기가  되며,  모두  도시소설  발전의  전체  과정을  상당히  정확하게  제시했다.  구체적인  내용  방면에서
              현대  단계의  모든  도시소설은  창조사,  프로소설,  경파소설,  신감각파,  좌익소설,  피점령지역  도시소설,  후기  해파소설  등을  망    Wordpress
              라했다.(『都市文化与中国现代都市小说』对都市文学的研究,摆脱了当时都市文学作家作品论的范畴,而将其上升到了文学形态
              论的高度。作者张鸿声首先将都市小说作为一个较完整的文学形态来看,从都市形态切入都市文学形态,结合现代都市形态的成熟                              LMS
              与流变,较为系统地论述了都市小说的发端、发展、高潮、起伏、流变等阶段。比如将五四时期看作酝酿准备期,30年代是发生高潮
              期,40年代是落潮期,都相当准确地揭示了都市小说发展的全过程。从具体内容看,现代阶段所有都市小说,如创造社、普罗小说、
              京派小说、新感觉派、左翼小说、沦陷区城市小说、后期海派小说等都在研究者的视域之内。)                                             Education
                양젠룽(杨剑龙)의  『도시문학(都市文学)』(上海人民出版社,  2014)에서는  상하이의  도시소설(多棱镜下有关现代上海的想象/
              重绘上海的心理地图/文学的都市与都市的文学/论上海文化与20世纪中国文学  등)과  「1980년대의  ‘현대파문학’(20世纪80年代
              的“现代派文学”)」,  「도시문학의  몸을  드러낼  수  없는  ‘타자’(城市文学:无法现身的“他者”)」,  「경파문학과  해파문학연구(京海         Platform
              文学研究)」,  「신감각파  소설을  논함(论新感觉派小说)」,  「경파와  해파의  문화적  인연과  심미적  형태(京派和海派的文化因缘及
              审美形态)」,  「혁명문학,  경파문학,  해파문학  개설(革命文学、京派文学、海派文学略说)」,  「1930년대  경파  등  작가  집단의  정치
              적  경향을  논함(论20世纪30年代“京派”等作家群体的政治倾向)」,  「라오서,  문화  거장의  윤리적  자리(老舍,一位文化巨子的伦
              理站位)」,  「반전기의  전기와  기타——장아이링의  소설을  논함(“反传奇的传奇”及其他——论张爱玲的小说)」와  「70허우  여성
              작가  집단의  당대  도시  글쓰기(70后女作家群的当代都市书写)」  등에서  중국  현당대문학  속의  도시소설의  작가와  작품을  소개
              서술했다.
                중국  현대문학사에서  1920년대에  대도시  ‘상하이’를  공간적  배경으로  삼아,  모더니즘  경향의  소설  창작을  한  작가들이
              있었고,  이들을  ‘신감각파(新感觉派)’로  부르고,  그들의  작품을  ‘신감각파  소설(新感觉派小说)’이라  명명했다.  스저춘(施蛰存,
              1905-2003),  류나어우(刘呐鸥,  1905-1939),  무스잉(穆时英,  1912-1940),  예링펑(叶灵凤,  1905-1975),  헤이잉(黑婴,
              1915-1992)  등이  그들이다.  1928년에  류나어우가  『무궤열차(无轨列车)』  반월간(1928年9月10日创刊,  同年12月25日出版
              第8期后停刊。)을  창간하고,  일본의  신감각주의  문학을  소개하기  시작했으며,  1932년에서  1935년  사이에  스저춘이  대형  문
              학  간행물  『현대(现代)』(1932年5月-1935年5月出至6卷4期)를  주관  발간하면서  신감각파  소설을  발표할  수  있는  중요한  공
              간을  제공했고,  신감각파  소설이  중국에서  가장  완벽한  모더니즘  소설  유파로  성장할  수  있게  했다.
                도시적인  우수  속에,  류나어우의  「잔류(残留)」(1929)와  「놀이(游戏)」(1930),  스저춘의  「밤과  토란(栗․芋)」(1929)에  어
              머니의  보호가  없는  아이가  있는가  하면,  「가을  끄트머리의  하현달(残秋的下弦月)」(1932)에서는  아내의  폐병을  통해  질병의
              낭만성을  강조하기도  했다.  「항구  안  작은  풍경(港内小景)」(1934)에서는  소시민의  삶의  애환을  드러냈다.  무스잉의  「공동묘
              지(公墓)」(1932),  「셰  의사의  미친  증세(谢医师的疯症)」(1933)  속의  셰(谢)  의사의  정신질환,  「백금의  여체  조각상(白金



           200
   198   199   200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