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93 - 중국현당대소설_배도임교수
P. 293
중국현당대소설 인문융합 큐레이터
09 개혁과 풍자
Reform and Satire
학중국 당대문학사에서 ‘조수 같은 한유(韩愈, 768-824)의 글과 바다 같은 소순(苏洵, 1009-1066)의 글(苏海韩潮)’을 짓
는 이가 있다면 바로 왕멍(王蒙, 1934- )이고, 바다 같은 왕멍의 글이다. 그는 소설을 거의 백 편 지었으며 발표할 때마다
커다란 풍랑을 일으켰고, 중국 당대문학이란 커다란 강줄기를 따라 오늘까지 왔다.
작가는 창작 생애에서 모두 한 번쯤은 용감하게 먼 길을 떠난다. 스물네 살의 F. 스콧 피츠제럴드(Francis Scott Key
Fitzgerald, 1894-1940)는 파리로 갔고, 서른아홉 살의 무라카미 하루키(むらかみ はるき, 1949- , 村上春树)는 남부 유
럽으로 갔다. 스물아홉 살의 왕멍은 온 가족이 서부 신장으로 이주했다. 구름에 달 가듯이 8천 리 길을 가서 16년이 지난 Wordpress
뒤에, 중국 문학사에서 빛나는 의식의 흐름의 명작과 길이길이 남을 ‘이리에서 시리즈’(“在伊犁”系列)를 남겼다.
왕멍은 두 가지 정체성을 지닌 작가이다. 하나는 중국공산당 중앙위원을 지내고 문화부 장관을 지낸 그의 경력에서 알 수 LMS
있듯이 공산당원이자 고위직 관료로서의 왕멍이고, 다른 하나는 소설가 왕멍이다. 「볼셰비키경례(布礼)」에서처럼 그는 소년
교
볼셰비키 출신이다. 초등학교에 다닐 적에 중국공산당 지하조직의 혁명공작 교육을 받고 열네 살에 입당했다. 그는 열아홉 육
살 때 『청춘 만세(青春万岁)』를 쓰면서부터 작가로 나섰고, 스물두 살 때 단편소설 「조직부에 새로 온 젊은이(组织部新来的 플
青年人)」로 문단에 존재를 알렸다. 이는 조직부에 새로 온 순수한 열정을 지닌 젊은이가 관료주의에 물든 조직부 관리들과 랫
폼
사이에서 모순을 느끼고 노력하여 개선점을 찾는 과정을 그린 작품이다.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의 성립은 프롤레타리아 사
|
회주의 혁명이 성공한 역사적인 사건이다. 하지만 1956년 시점에서 갈수록 혁명의 순결성과 열정이 식으면서 관료주의 풍조
가 일어나고 새로운 특권계층이 생겼으며 인민 위에 군림하며 위화감을 조성하고 계급적 모순과 갈등이 드러나기 시작했다.
왕멍은 그러한 현실의 모순과 위기를 문학적으로 포착하여 고발했다. 하지만 이는 중국공산당의 지배와 혁명의 ‘어두운 면’을 Wordpress
폭로하는 일이었고, 1957년에 일어난 ‘반우파투쟁(反右派斗争)’의 소용돌이 속에서 ‘우파’가 됐다. 1979년 문화대혁명이 막
을 내린 뒤에 복권되고 당적을 회복하며 베이징으로 돌아올 때까지 그는 정치권과 문단에서 떠나있어야 했다. 그는 ‘중국공 LMS
산당의 지도와 혁명성과 찬양 일변도’의 중국 문단에서 최초로(어느 면에서는 유일하게) 정치 영역의 ‘어두운 면’을 파헤치고
풍자하며 비판하고 문학적 개혁의 소리를 낸 작가라고 말할 수 있다. Education
문화대혁명 정국이 안정된 뒤인 1986년에 왕멍은 문화부 장관직에 올랐다. 1989년 텐안먼사건(天安门事件, 6月3日凌
晨,部分解放军戒严部队奉命进驻北京城内的一些重点保卫目标。6月4日凌晨4时半,戒严部队开始对天安门广场实行清场。约5
时左右,广场上的学生开始撤离,戒严部队同时进驻天安门广场。至5时半,整个清场过程结束。6月5日,中共中央、国务院发表 Platform
「告全体共产党员和全国人民书」。6月7日,中共中央纪律检查委员会发出「关于严明党的纪律维护党的团结统一的通知」。)이 수습
된 뒤에 장관직에서 물러났다. 공식적으로는 스스로 사직한 것으로 되어 있지만, 당시 장관 등 당정 고위 인사들이 톈안먼사
건 진압을 위해 동원된 중국인민해방군 부대를 위문하기로 했는데, 왕멍은 장관 중에서 유일하게 위문하기를 거부하였다는
이유로 해임되었다는 것이 정설이다. 1980년대는 왕멍이 중국 문단을 대표하는 작가로서 중국 사상계를 대표하는 지성으로
서 입지를 굳힌 시기였다. 그는 사회주의 리얼리즘에서 탈피하여 의식의 흐름이나 자유 연상, 과감한 풍자 등의 예술 수법을
자유롭게 사용하는 다양한 형식의 실험을 시도했고, 이 방면에서 가오싱젠(高行健, 1940- )과 쌍벽을 이루었다. 그의 새로
운 형식 실험은 형식 실험 그 자체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급변하는 중국 현실의 핵심을 포착하려는 치열한 현실주의 정신과
결합해 있다. 문화대혁명은 끝났지만 새로운 개혁 개방 시대가 아직 확고하게 자리 잡지 못한 채, 과거와 현재가 뒤엉켜서
혼란스럽기 짝이 없는 역사적 상황, 그 혼돈의 시대 속에서 흔들리는 인간의 내면, 무엇보다도 그런 상황에 놓인 왕멍 자신
의 복잡한 내면을 드러내는 데 효과적인 실험이었다.(「견고한 죽(坚硬的稀粥)」, 「밤의 눈(夜的眼)」, 「나비(蝴蝶)」)
‘인민예술가(人民艺术家)’로 불리는 왕멍의 문학은 강한 현실성을 바탕으로 창조된 것이다. 왕멍은 중국의 다른 어느 작
가들보다도 중국 사회를 꿰뚫어 보는 예민한 통찰력과 날카로운 관찰력을 지니고 있고, 중국 사회가 안고 있는 문제의 핵심
을 단번에 끄집어내는 날카로움을 지니고 있다. 왕멍은 다른 어떤 중국 작가보다도 중화인민공화국이라는 새로운 공화국의
역사와 공동 운명의 길을 걸어왔다. 왕멍이라는 존재 자체가 그만큼 하나의 역사적 상징이다. 때로는 그것이 한계로 작용한
다. 그러나 그 한계까지를 포함하여 왕멍 문학이 지닌 독특한 개성이 바로 거기에 있고, 이는 왕멍 문학이 중국 문학의 한
시금석인 이유이기도 하다.(이욱연‧유경철, 2005)
2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