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80 - 중국현당대소설_배도임교수
P. 180
6장 혁명과 연애 Revolution and Love
떻게 그것을 곧게 펼 것인가(真是何其直也)’라는 의미이다. 친자오양은 이 글에서 ‘현실주의의 천지는 얼마나 큰가, 생활은
얼마나 드넓은가, 그것의 영역은 얼마나 드넓은가, 이렇게 큰 천지와 드넓은 영역이 가장 예술가의 재능과 격조를 발휘하는
데 유리한 것이다. 그래서 현실주의라야 문학 창작의 드넓은 길이다(现实主义的天地很大,生活有多么广阔,它的领域就有多么
广阔;这样大的天地和广阔的领域, 最有利于发挥艺术家的才能和风格, 所以, 现实主义才是文学创作的广阔道路。)’라는 주장을
펼쳤다. 그리고 그는 또 1950년대 이래 문예 정책이 갈수록 심각한 교조주의 경향을 양산하는 것에 대해 회의하고 반성했
다. 친자오양이 제기한 생활의 진실과 예술의 진실을 꾸준히 추구하는 것이라는 현실주의의 전체 원칙이라는 전제 아래서 각
종 현실주의에 대해 시대적인 구분을 더 할 필요는 없다는 의견은 1957년에 이르러 비판을 받았다. 친자오양이 이 글을 쓴
목적이 ‘사회주의의 어두운 면(社会主义的阴暗面)’을 폭로하는 데 있다는 비판이었다. 게다가 그가 수정을 도와준 샤오예무 중
국
의 중편소설 「우리 부부 사이」와 함께 ‘대우파(大右派)’가 되는 커다란 죄상이 되었다. 그 결과 친자오양은 22년 동안 문단
현
을 떠나야 했다. 그는 광시(广西) 류저우(柳州) 공장으로 하방(下放)되어 노동개조를 했고, 1979년에 복권됐다. 노동자 출 당
신 작가 샤오예무는 문화대혁명 중에 ‘현행 반혁명(现行反革命)’으로 간주 됐고, 1970년 10월 15일에 허난(河南)에 있는 5‧ 대
소
7간부학교(五七干校)에서 생으로 맞아 죽었다. 5‧7간부학교의 규정에 따라 그는 혁명동지의 묘지에 들어갈 수 없었고 비석을
설
세울 권리도 없어 들판에 버려지듯이 묻혔다. 1979년에 그의 명예가 회복된 뒤에 가족이 시신을 수습하러 가니 무덤은 이미 |
텅 비었고, 관도 누가 파간 뒤였다고 한다. 물자가 부족한 척박한 환경의 시골에서 나무도 귀한 것이었고 누군가 관을 파간
것이다. 그래서 루쉰의 단편소설 「약(药)」과 같은 비극의 예로 거론되기도 했다. Chinese
샤오예무는 1949년에 중편소설 「우리 부부 사이」를 창작하여 1950년 『인민문학』 제1권 제3기에 발표할 적에 “초고는
베이징에서 썼고, 톈진 바닷가에서 수정했다(1949年秋天,初稿于北京。重改于天津海河之滨。)” 하고 밝혔다. 소설 속에 실제 Modern
존재하는 베이징 지명이 등장하고 ‘새로운 수도(新都)’ 베이징을 등장시킨 점이 이 작품의 운명을 불우하게 했다. 소설 속에
서 ‘베이징’이란 도시 공간을 대량으로 집중적으로 구체적으로 묘사했고, 게다가 부부 사이의 모순과 충돌이 모두 ‘수도’에서 and
발생했다. 부부는 모두 혁명 간부이지만, 어떻게 ‘수도’ 공간을 대하고 관리할 것인지 하는 점에서 다른 견해를 지녔다. 부부
의 다툼 과정에서 ‘도시 공간’과 ‘좌익 혁명’이란 모순도 한 차례 등장했다. 독자는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초기의 ‘베이징’이란
시공간과 「우리 부부 사이」에서 새로 해독한 도시공간 사이에서 모순이 그렇게 간단한 것이 아니라는 점을 발견할 수 있다. Contermporary
1950년대 문학예술계의 정풍(整风)-쌍백방침(双百方针, “百花齐放,百家争鸣”, 1956)-반우파투쟁(反右派斗争, 1957)-
문화대혁명(文化大革命, 1966-1976) 등 정치적 소용돌이 속에서 샤오예무는 대표적인 비극 작가이고 「우리 부부 사이」는
대표적인 비극 작품이 됐다. 아울러 지금까지도 샤오예무를 거론하는 이유는 첫째, 그의 소설 「우리 부부 사이」가 중화인민
공화국 성립 뒤에 최초로 비판을 받은 소설이라는 점, 둘째, 그가 당대 문단에서 최초로 ‘글’로 죄를 지어 비판을 받고 몽둥 Novels
이로 맞은 작가라는 점에 있다.(因为萧也牧身上有两个第一:他的小说《我们夫妇之间》是新中国建立后第一个受到批判的小说;
他是当代文坛上第一个因“文”获罪而被批判、挨棍子的作家。)
「우리 부부 사이」의 등장인물
인물 내용
나, 지식인 출신 간부
이야기를 이끌어가는 화자
리커 1946년에 장 동지와 결혼
1948년 가을에 부부 함께 산골 타이터우완으로 배치
6
장 1949년 부부 함께 베이징 입성
리커의 아내, 빈농 출신 노동자
혁
명 농사꾼 집안에서 태어나 열한 살에 민며느리로 팔림
과 장 동지 시어머니와 남편의 구타와 학대에 시달리다 공산당이 들어와 해방됨
무기공장의 노동자였음
연 혁명에 참여
애 지금 구역노조사무소에서 근무
아기 결혼 두 해 뒤 가을에 낳음(이름 없음)
천샤오쥐안 보모,
1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