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38 - 중국현당대소설_배도임교수
P. 338
9장 개혁과 풍자 Reform and Satire
「볼셰비키경례」의 등장인물은 다음과 같다.
「볼셰비키경례」의 등장인물
인물 성격과 특징
1932년 P시에서 태어남
도시 빈민 출신, 아버지 없음
열세 살부터 지하당 조직과 연결
열다섯 살에 입당 중
열일곱 살에 지부서기 국
열여덟 살에 학교를 떠나 중국공산당 업무에 몰두 현
당
P시 성립고등학교 학생이자 핑싱지부 한 곳의 지부서기이자 후보당원으로 지하활동 지도 대
P시 해방 전투 뒤, S대학 강당에서 개최한 시 전체 당원대회 참석 소
중이청
중국공산당 P시 중심도시지역위원회의 간부이자 판골실 조사연구팀 조장 설
판공실 지도 운동 3인소조 성원 |
1957년 5월 아동화보에 시 「가을밀의 자술」 한 편 발표
1957년 7월 1일 바판의 글이 게재되고 우파가 됨 Chinese
하방한 산골에서 도로건설작업대대의 화재를 진압하고 화상을 입음
화재사건 조사를 나온 사람들은 중이청을 방화범으로 몰아 심문
공사병원에 입원 치료할 때 링쉐가 간호해줌 Modern
1979년 1월 복권이 이루어짐
아버지 없음 and
사립 징전여자중학교의 3학년 학생으로 P시 여자중학교 학생이 조직한 대오 지도
링쉐
P시 해방 전투 뒤, S대학 강당에서 개최한 시 전체 당원대회 참석
중이청이 우파가 된 뒤에 그와 결혼하여 당적 제명
지역위원회 서기 Contermporary
S대학 강당에서 개최한 시 전체 당원대회에서 중이청에게 해방군 외투를 벗어줌
라오웨이 당내 교육 수업에서 중이청과 링쉐 등 감화
당내 교육 수업으로 인해 1968년 비판받고 다른 성 감옥에 7년여 수감
석방 뒤 불치병으로 임종 전에 중이청에 관한 보고서를 작성, 그에게 당에 호소할 것을 당부 Novels
라오웨이의 병든 아내 농민 출신 여성업무 간부, 지역 모 기관에서 근무
판공실 주임이자 3인 소조 조장
쑹밍
중이청을 우파로 만드는 데 앞장섰지만, 1967년 3월 문화대혁명 중에 자살
수친 쑹밍의 이혼한 아내
아슝 쑹밍과 수친의 아들
새로운 스타 평론가 1957년 7월 1일 수도의 어떤 신문에 「겨울밀의 자술」을 비판하는 글을 게재
샤오가오 라오웨이의 운전기사
열세 살
라오쓰 농부의 아들
평소에 중이청에게 동갑내기 친구처럼 잘해줌
9
장 중이청이 입원하자
병문안 온 이들 라오쓰 할아버지 라오쓰가 부축해서 옴
개
혁 빈농 아주머니 지팡이 짚고 옴
과 도로건설작업대대 노동자들
풍
자 「볼셰비키경례」의 중이청은 반우파투쟁과 문화대혁명 기간에 극좌적인 정치의 상해를 입은 인물이다. 작품은 주인공이 수
난의 경험과 상처의 기억을 서술했다. 이런 서술은 상처 기억을 서술하는 방식으로 서술되며, 수난을 당하는 지식인은 수난
경험과 그 원인에 대한 반성을 곁들였다. 나라와 인민에 대한 충성과 믿음은 중국 혁명문학에서 흔히 보이는 주인공들의 정
신세계를 대변하는 말이다. 특히 지식인 출신의 혁명가와 공산당 간부를 주인공으로 삼은 혁명문학에서 핵심적인 주제어이다.
3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