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4 - 중국현당대소설_배도임교수
P. 44

3장  우울과  낭만                 Depression  and  Romance



                               안칭에서  교편을  잡을  적에  위다푸는  광밍푸(光明甫,1876-1963,  안후이성  교육청  청장  역임)의
                             의거에  깊이  감동했고,  ‘법정사건’  배경을  소설  「가을  버들」과  「아득한  밤」에  써넣었다.  「아득한  밤」
                             에서  주인공  위즈푸(于质夫)는  바로  작가  자신이며,  A시는  안칭이고,  루  교장(陆校长)은  광밍푸이고,
                             장커치(蒋可奇)는  장가오치(姜高琦,  1901-1921,  1920年考入安庆省立第一师范学校。1921年6月2
                             日,方洛舟等几位学生代表到省议会质询,有两名学生代表被反动派打伤,各校学生群情激愤。此时,他
                             愤然高呼:“是有天地,何能独生”。遂与千余名学生前往省议会抗议,在同反动军警拼搏中被戮七刀,于7
                             月1日身亡。)이다.  리싱랑(李星狼)과  마이롄이(麦连邑)는  니다오랑(倪道烺,  1879-1951)과  마롄자
                             (马联甲,  1865-1935)를  빗댄  인물이다.  법정에서의  광밍푸의  투쟁을  진실하게  반영했다.  「아득한      중
                  광밍푸                                                                                국
                             밤」에서  위다푸는  장제로  대표되는  학생과  학우  여덟아홉  명이  학교에서  소란을  피운  광경을  묘사했
                                                                                                     현
                             다.  그들은  심지어  루  교장의  교장실로  뛰어들어  이부자리를  내가지만,  어떤  누구도  막는  사람이  없     당
              었다.  그들이  어쩌면  이토록  사납게  날뛸  수  있었는지?  위즈푸의  동료  체조선생  왕이안이  그에게  그간의  경위를  알려주었다.     대
                                                                                                     소
                위다푸가  「아득한  밤」에서  당대  가장  먼저  대담하게  동성애를  묘사했다.  위즈푸는  처음부터  끝까지  자기  주체성이  이상하
                                                                                                     설
              게  강한  인물로  등장했다.  우츠성이나  하이탕이나  모두  사실상  위즈푸가  의식  속에서  허구한  형상과  별  차이가  없다.  그들은    |

              위즈푸의  타자(他者)라고  말할  수  있다.  어두운  사회  현실이  그를  절망하게  했다.  그에게는  곧  멸망할  것  같은  중국과  인류,
              아득히  긴  밤,  가을  밤하늘을  수놓은  반짝이는  별들이  모두  ‘마음을  아프게  하는  씨앗’(伤心的种子)이었다.  그는  원래  자존    Chinese
              심이  매우  강한  인물이다.  다른  사람이  주는  모욕에  유달리  민감했고,  그것이  되레  그  자신을  육체적  욕망과  충동의  노예가
              되게  했다.  원래  자신과  다른  힘이  늘  그를  압박했고  그  자신도  모르게  변태적인  행동을  하게  했다.  마지막에  스스로  억누를   Modern
              수  없는  충동에  휩싸인  그는  문  앞쪽  구석에  새까만  양철판  간판을  단  ‘루허반’으로  들어간다.  「타락」  속의  ‘그(他)’나  「아득
              한  밤」의  위즈푸나  모두  타락했지만,  그  자신은  기꺼이  타락하기를  원하지  않는다.  그들이  매번  깊이  뉘우칠  때마다  그들은    and
              이를  악물고  다음번에는  절대  그러지  않으리라  다짐한다.  그들은  때로  토요일이나  월말  밤에  머리를  깎고  목욕을  하러  가는
              데,  이렇게  함으로써  잘못을  고쳐  새사람이  되고,  착한  일을  물  흐르듯  하는  의식이라  여긴다.(有时候正合到礼拜六或月底的
              夜晚,去剃头洗澡,以为这就是改过自新、从善如流的标志。)                                                           Contermporary
                「아득한  밤」의  등장인물은  다음과  같다.


                                             「아득한  밤」의  등장인물
                      인물                                    성격                                       Novels
                                 스물대여섯  살                           우츠성을  좋아함(동성애)
                위즈푸              A시  법정전문학교  교수로  초빙받음              여성이  쓰던  물건  수집
                                 우츠성에서  A시로  같이  가자고  권함            기생집에서  세  가지  조건  제시
                                 열아홉  살  전후
                      우츠성        잘생기고  가냘픈  몸매
                                 폐병을  앓고  있음
                                 위즈푸의  동창생
                                 스물일고여덟  살                          A시로  가는  위즈푸를  배까지  전송
                      동창  1
                                 동창  2보다  더  나이가  들어  보임
                상하이              위즈푸에게  돈을  충분히  지녔는지  물어봄
         3
         장
                      동창  2      위즈푸의  동창생
         우                       스물일고여덟  살
         울                       T출판사  편집장
         과
                      광하이루       일본으로  감
         낭                       편집실에서  우츠성을  소개해줌
         만
                                 교장
                 A시   루          군벌  리싱랑,  마이롄상에  맞서  법을  어긴  의원들  반대  A시  법정전문학교
                                 너그러움


                                                                                           41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