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24 - 중국현당대소설_배도임교수
P. 224
7장 도시와 탐미 City and Aesthetic
1933년 전후에 무스잉은 소설집 『남북극(南北极)』(现代书局, 1933), 『공동묘지(公墓)』, 『백금의 여체 조각상(白金的女
体塑像)』, 『성스러운 처녀의 감정(圣处女的感情)』 등 네 권을 출판했다. 항일전쟁(抗日战争, 1937-1945)이 발발한 뒤에
그는 홍콩으로 가서 『성도일보(星岛日报)』 편집장을 맡았고, 1939년에 상하이로 되돌아와서 왕징웨이(汪精卫,
1883-1944) 정부가 주관한 『국민신문(国民新闻)』에서 사장을 맡았고, 『중화일보(中华日报)』에서 문예 선전업무를 주관했
다.
1940년 6월 28일 오후 6시 40분, 무스잉이 인력거를 타고 퇴근하는 길에 상하이 싼마로(三马路) 푸젠로(福建路) 195
호 근처를 지날 적에 저격당해서 오른쪽 어깨와 오른쪽 아랫배에 한 발씩 명중했고 과다출혈로 사망했다. 일반적으로 그때
상하이에 잠복한 ‘배반자 제거(锄奸)’ 조직에 의해 살해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
국
그는 현대중국사에서 ‘중국 신감각파의 명수(新感觉派的圣手)’로 불리며, 신감각파 소설의 절정을 구가하게 했다. 중국 현
현
대 도시문학의 선구자로서 해파문학(海派文学, 상하이 배경이나 상하이풍의 문학)의 대표 작가이다. 그의 작품은 대부분 당
192, 30년대 상하이라는 대도시 문화의 반짝 등장, 기형적인 발전과 도시 사회의 생활상을 묘사했다. 그는 도시소설에서 주 대
소
로 상하이의 나이트클럽, 커피숍, 술집, 극장, 경마장 등 오락 장소와 원스텝, 재즈 음악, 모델, 네온사인의 선율과 색채, 도
설
시 사람의 감각, 섬세함, 복잡한 심리 변화와 흐름을 포착해서 전시했다. 하지만 무스잉은 초기에는 하층민의 녹림호걸 같은 |
생활과 사회의 빈부격차와 불평등 현상을 파헤치기도 했다. 「남북극」, 「우리의 세상」 등에서 도시 문학의 우아함과 어둠과는
다른 예술적 표현수법으로 하층민의 억세고 거친 생활과 언어로 가득 채웠으므로 ‘프로문학의 백미(普罗文学之白眉)’로 호평 Chinese
을 받았다.
02) 창작배경 Modern
해파 소설(海派小说)에는 예전에 신청(申城, 상하이의 옛 명칭)의 문화 풍경이 담겼고, 소재 선택과 구상은 일정한 연속 and
성을 유지하며 독특한 풍격을 갖추었다. 무스잉은 이 방면에서 뛰어난 재능을 발휘했고, 신감각파의 주요 작가로 손꼽게 했
다. 그는 빠른 리듬 속에서 상하이라는 반식민지 대도시의 기형적인 모습을 드러내고 시민의 복잡한 심리를 포착하며, 인물 Contermporary
의 잠재의식을 파내서 그 심리를 분석함으로써 분명한 창작의 특징을 갖추었다.(穆时英擅长在快速的节奏中,展示上海这个半
殖民地大都会的畸型,捕捉市民的复杂心态,对人物进行潜意识挖掘和心理分析,形成鲜明特点。) 「나이트클럽의 다섯 사람(夜
总会里的五个人)」 등에서 감각을 객체화하면서 입체적인 화면을 그려냈다. 여기에는 파산한 사람, 실연한 사람, 청춘의 용모
를 잃은 사람, 학업에 얽매인 사람, 공직을 잃은 사람이 등장하는데, 모두 정신적 안식처와 삶의 의지를 잃고 방황하는 사람 Novels
들이다.
‘신감각파의 금손’이라 불리는 무스잉은 그의 작품에서 다채롭고 특이한 여성 형상을 창조했다. 상하이라는 모던 도시에서
사는 여성의 모습과 매우 분명하게 서양의 영향을 받은 패션 등에는 이국적인 정취가 스며들어 있다. 전통적인 여성 형상과
비교하면, 이런 여성들은 정신과 기질 방면에서 크게 변한 것이다.(被誉为“新感觉派的圣手”的穆时英在其作品中塑造了很多姿
态各异的女性形象,这些生活在上海这座摩登都市的女性的相貌和穿着打扮很明显地受到了西方的影响,她们身上往往有一种异国
情调。与传统的女性形象相比,这些女性在精神气质方面也是有很大的改变。) 그래서 무스잉의 작품 속의 여성의 전체적인 외모
는 상하이가 서양 현대 문명의 영향을 비교적 크게 받았고, 그래서 그가 창조한 상하이 여성은 모두 서양 미녀의 ‘맛’을 갖
고 근대형 개념과 의미를 지녔다. 그녀들의 생김새는 전통적 중국 여성과 비교해보면 더욱 입체적이다. 여성의 신체적 특징
을 비교할 적에 무스잉은 동물, 식물, 사물, 심지어 땅의 모양과 비유해서 어떤 성적 특징들을 암시했다. 여성의 신체 특징에
7
장 대한 비유에서, 전통적인 중국 여성의 상대적으로 평편한 외모적 특징과 달리, 비교적 입체적인 용모와 이국적인 풍취를 갖
고 있는데, 이는 당시 상하이 조계 지역의 남성의 심미적 정취의 변화를 보여준다. 조계 지역은 서양 현대 문명의 감염을 가
도
시 장 먼저 받았고, 당시 상하이에는 댄스홀, 커피숍, 레스토랑 등 서양 문명의 산물이 널려있던 곳이다. 따라서 여성에 대한 중
와 국 사람의 상상도 변화가 생긴 것임을 알 수 있다. 무스잉은 「공동묘지」, 「백금의 여체 조각상」 등에서 여성을 동물, 식물,
탐 사물 등과 관련시키는 비유를 통해서 암시적인 의미를 강화하고 여성 형상과 성격의 특징을 돋보이게 하며, 인물을 더욱 생
미 동감 넘치게 한다. 여기에는 욕망의 소용돌이에 빠진 여성, 「소모품이 되어버린 남자(被当做消遣品的男子)」(이 작품은 무스
잉이 열여덟 살 때 창작한 것이라고 함)의 여성 룽쯔(蓉子)처럼 정신이 자주적이고 전위적인 여성, 「공동묘지」 속의 링 양
(玲姑娘) 같이 단순하고 순결한 여성 등이 등장한다.(丁瑞, 「穆时英小说中的女性形象分析」)
「백금의 여체 조각상」은 매우 규칙적인 생활을 하는 서른여덟 살의 셰 의사가 스물네 살의 폐병에 걸린 기혼 여성이자
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