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0 - 중국현당대소설_배도임교수
P. 30
2장 계몽과 고향 Enlightenment and Homeland
「고향」의 등장인물
인물 성격
고향에 대한 아름다운 추억을 품고 있음
나(迅) 이십여 년 뒤에 고향으로 돌아와 고향의 뒤떨어지고 고달픈 현실을 목도함
희망을 품고 고향을 떠남
어머니 루쉰의 친어머니로 추정됨
조카
훙얼 중
수이성과 훗날 만나리고 약속함
국
집안 일꾼의 아들 현
룬투 어릴 적에는 재고 튼튼하고 소박하고 순수한 소년 영웅이었음 당
지금은 농촌 사회의 현실을 몸으로 보여주는 농부로서 봉건 도덕 관념을 신봉함 대
소
룬투의 다섯째 아들 설
수이성 수줍음이 많음
훙얼과 뒷날 만나리고 약속함 |
두부가게 아주머니 Chinese
두부서씨 양씨 둘째 아주머니 젊고 아리따워서 두부가게 장사를 잘 했음
나이 들고 이기적이고 수다스럽고 작은 이익에 목숨 거는 소시민성을 드러냄 Modern
등장인물 가운데 룬투와 두부서씨 양씨 둘째 아주머니는 서로 대비되는 인물이다. 룬투는 신분의 한계에서 벗어나지 못하
고 봉건 도덕 관념을 신봉하며 각성하지 못한 어리석은 중국의 농민을 대표한다면, 두부서씨 양씨 둘째 아주머니는 자신의 and
이익을 위해서는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교활함과 이기심을 지닌 인물이며, 아첨하고 속임수를 쓰며 한편으로 남이 잘되
면 배 아파하고 진실하지 못한 인물을 대표한다.
대표적인 루쉰연구가 왕푸런(王富仁, 1941-2017)은 「‘정신적 고향’의 상실」이란 글에서, 「고향」은 ‘세 가지 고향’에 대 Contermporary
해 썼다고 분석했다.(왕푸런)
「‘정신적 고향’의 상실」 Novels
첫째, 오색찬란한 세계
기억 속의 고향 과거시제 둘째, 고요하고 생동감 넘치는 세계 아름다운 세계
셋째, 끝없이 넓게 탁 트였고 신선한 세계
고향
현실 속의 고향 현재시제 현실의 사회적 삶의 압력을 바다 정신의 생명력을 잃어버린 고향
이상 속의 고향 미래시제 어른 수이성과 어른 홍얼이 만나는 세계
왕푸런은 같은 글에서 ‘고향’은 ‘조국’과 같다고 말했다. “고향이란 어떤 사람이 전에 살았던 장소이다. 특히 어린 시절에
살았던 장소이다. 하지만 이 ‘고향’의 범위는 클 수도 있고 작을 수도 있다. 항저우에서 사오싱이 바로 루쉰의 고향이라면,
베이징에서는 저장이 루쉰의 고향이다. 하지만 일본에 가면 중국이 바로 루쉰의 고향이다. 이때 ‘고향’과 ‘조국’은 같은 개념
장 이 된다. 그리하여 어떤 민족의 언어 속에서 ‘고향’과 ‘조국’은 같은 말이다. 첫 번째 자모를 대문자로 쓰면 ‘조국’이 되고 소
2
계 문자로 쓰면 ‘고향’이 된다. 요컨대 「고향」에서 구체적으로 쓴 것은 ‘고향’이지만 그것이 표현해낸 것은 ‘조국’에 대한 루쉰의
몽 느낌과 희망이다.”
과
고 02) 텍스트 읽기
향
故乡
고향
27